루이 생로랑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루이 생로랑은 1882년에 태어나 1973년에 사망한 캐나다의 변호사이자 정치인으로,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캐나다의 국제적 위상 강화와 사회 복지 정책 확대를 이끌었다. 그는 법무부 장관, 외무부 장관을 거쳐 1948년부터 1957년까지 캐나다 총리를 역임했다. 생로랑 정부는 대규모 공공 사업을 추진하고, 사회 복지 제도를 확대했으며,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 설립을 지지하는 등 활발한 외교 활동을 펼쳤다. 퇴임 후에는 법률 업무에 복귀했으며, 캐나다의 황금기를 이끈 지도자로 평가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라발 대학교 동문 - 니클라우스 비르트
스위스의 컴퓨터 과학자 니클라우스 비르트는 ALGOL W, 파스칼, 모듈라-2, 오베론 등의 프로그래밍 언어와 오베론 운영체제 설계, 컴파일러 설계 및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에 기여했으며, "알고리즘 + 데이터 구조 = 프로그램" 저술과 "Program Development by Stepwise Refinement" 논문을 통해 컴퓨터 과학 교육에 혁신적인 영향을 미치고 1984년 튜링상을 수상했다. - 라발 대학교 동문 - 장 (룩셈부르크)
장은 1921년 룩셈부르크에서 태어나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고 1964년 대공이 되어 룩셈부르크의 발전에 기여했으며 2000년 퇴위 후 2019년 사망했다. - 캐나다의 총리 - 피에르 트뤼도
캐나다의 제15대 총리인 피에르 트뤼도는 자유당 소속으로 하원의원을 거쳐 법무장관을 역임하며 진보적인 정책을 추진했고, 총리 재임 시절에는 외교 정책을 펼치고 헌법 개정을 통해 캐나다의 정체성 확립에 기여했으며, 그의 장남 쥐스탱 트뤼도 또한 캐나다의 총리를 역임했다. - 캐나다의 총리 - 윌리엄 라이언 매켄지 킹
윌리엄 라이언 매켄지 킹은 캐나다의 최장수 총리로서 세 차례에 걸쳐 총리직을 역임하며 관세 인하, 자치권 확대, 노인 연금 도입,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등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캐나다 복지 국가의 기틀을 마련했다. - 캐나다의 로마 가톨릭교도 - 피에르 트뤼도
캐나다의 제15대 총리인 피에르 트뤼도는 자유당 소속으로 하원의원을 거쳐 법무장관을 역임하며 진보적인 정책을 추진했고, 총리 재임 시절에는 외교 정책을 펼치고 헌법 개정을 통해 캐나다의 정체성 확립에 기여했으며, 그의 장남 쥐스탱 트뤼도 또한 캐나다의 총리를 역임했다. - 캐나다의 로마 가톨릭교도 - 폴 마틴
캐나다의 제21대 총리인 폴 마틴은 2003년부터 2006년까지 재임하며 재정 적자 감소에 기여하고 동성 결혼 합법화를 이끌었으나, 후원금 스캔들과 소수 정부 운영의 어려움, 그리고 미국 미사일 방어 프로그램 참여 거부 등으로 비판받기도 했다.
루이 생로랑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 이름 | 루이 스테펀 생로랑 |
출생일 | 1882년 2월 1일 |
출생지 | 퀘벡주콤프턴, 캐나다 |
사망일 | 1973년 7월 25일 |
사망지 | 퀘벡주퀘벡 시, 캐나다 |
안장 장소 | 생 토마스 다캥 묘지, 콤프턴, 퀘벡 |
정당 | 캐나다 자유당 |
배우자 | 잔 르노 (1908년 결혼, 1966년 사별) |
자녀 | 5명 (장폴 생로랑 포함) |
모교 | 생샤를 보로메 신학교 라발 대학교 |
직업 | 변호사 |
![]() | |
정치 경력 | |
직위 1 | 제12대 캐나다 총리 |
임기 시작 1 | 1948년 11월 15일 |
임기 종료 1 | 1957년 6월 21일 |
군주 1 | 조지 6세 엘리자베스 2세 |
총독 1 | 튜니스 자작 해럴드 알렉산더 뱅상 마시 |
이전 총리 1 | 윌리엄 라이언 매켄지 킹 |
다음 총리 1 | 존 디펜베이커 |
직위 2 | 야당 대표 |
임기 시작 2 | 1957년 6월 21일 |
임기 종료 2 | 1958년 1월 16일 |
이전 야당 대표 2 | 존 디펜베이커 |
다음 야당 대표 2 | 레스터 B. 피어슨 |
직위 3 | 자유당 대표 |
임기 시작 3 | 1948년 8월 7일 |
임기 종료 3 | 1958년 1월 16일 |
이전 대표 3 | 윌리엄 라이언 매켄지 킹 |
다음 대표 3 | 레스터 B. 피어슨 |
직위 4 | 법무부 장관 겸 검찰총장 |
총리 4 | 윌리엄 라이언 매켄지 킹 |
임기 시작 4 | 1948년 9월 10일, 임시: 1948년 7월 1일 – 1948년 9월 9일 |
임기 종료 4 | 1948년 11월 14일 |
이전 장관 4 | 제임스 로리머 일슬리 |
다음 장관 4 | 스튜어트 가슨 |
총리 5 | 윌리엄 라이언 매켄지 킹 |
임기 시작 5 | 1941년 12월 10일 |
임기 종료 5 | 1946년 12월 9일 |
이전 장관 5 | 조제프-에노일 미쇼 |
다음 장관 5 | 제임스 로리머 일슬리 |
직위 6 | 외무부 장관 |
총리 6 | 윌리엄 라이언 매켄지 킹 |
임기 시작 6 | 1946년 9월 4일 |
임기 종료 6 | 1948년 9월 9일 |
이전 장관 6 | 윌리엄 라이언 매켄지 킹 |
다음 장관 6 | 레스터 B. 피어슨 |
선거구 7 | 퀘벡 동부 |
의회 7 | 캐나다 |
임기 시작 7 | 1942년 2월 9일 |
임기 종료 7 | 1958년 3월 31일 |
이전 의원 7 | 어니스트 라포인트 |
다음 의원 7 | 이본-로마 타세 |
2. 초기 생애 및 교육 (1882–1905)
생로랑은 1942년 하원의원(퀘벡 이스트 선거구)으로 처음 당선된 이후, 1957년까지 5번의 선거에서 연이어 당선되며 정치 경력을 이어갔다.
루이 생로랑(lwi sɛ̃ lɔʁɑ̃프랑스어)은 1882년 2월 1일 퀘벡주 동부 타운십스(Eastern Townships)의 콩프턴(Compton)에서 프랑스계 캐나다인 장바티스트무아즈 생로랑(Jean-Baptiste-Moïse Saint-Laurent)과 아일랜드계 캐나다인 메리 앤 브로더릭(Mary Anne Broderick) 사이에서 태어난 일곱 자녀 중 맏이였다. 콩프턴은 생로랑이 태어났을 당시에는 주로 영어권 지역이었지만, 1901년에서 1911년 사이 프랑스어 사용 인구가 점차 많아졌다. 생로랑은 아버지로부터는 프랑스어를, 어머니로부터는 영어를 사용했기 때문에 유창한 이중언어 사용자가 되었다. 그의 영어에는 눈에 띄는 아일랜드 사투리가 있었고, 어깨를 으쓱하는 것과 같은 몸짓은 프랑스식이었다.[2] 어린 시절 영국 문학에도 관심이 많았던 생로랑 가족의 집은 마을의 사교 중심지 역할을 했다.[2]
생로랑의 아버지 장바티스트는 콩프턴의 상인이었고, 캐나다 자유당과 윌프리드 로리에 경의 열렬한 지지자였다. 1894년 지방 보궐선거에 출마했지만 낙선한[2] 그는 1896년 로리에가 이끄는 자유당의 승리 소식을 14세였던 아들 루이에게 자신의 가게 전화로 알리게 했다.
생로랑은 세미네르 생 샤를 보로메(Séminaire Saint-Charles-Borromée)[3][2]에서 1902년 학사 학위(B.A.)를, Université Laval|라발 대학교프랑스어에서 1905년 법학 학사 학위(LL.L.)를 받았다. 1905년 라발 대학교 졸업 후 로즈 장학금을 제안받았지만 거절했다. 1908년 잔느 르노(Jeanne Renault, 1886~1966)와 결혼하여 두 아들과 세 딸을 두었으며, 그중에는 장폴 생로랑(Jean-Paul St. Laurent)도 포함된다.
3. 법조 경력 (1905–1942)
생 로랑은 1905년부터 1942년까지 변호사로 활동했다. 1914년에는 라발 대학교에서 법학 교수를 역임하기도 했다. 퀘벡에서 기업법, 상법, 헌법을 전문으로 다루었으며, 캐나다에서 가장 존경받는 법률 자문가 중 한 명이 되었다. 1930년부터 1932년까지 캐나다 변호사 협회 회장을 역임했다.[4]
1907년, 생 로랑은 퀘벡에서 사제와 수녀를 증인석에 세워 반대신문을 한 이례적인 행동으로 주목을 받았다. 이는 자신의 모든 재산을 담임 사제에게 남긴 한 여성의 유언을 다투는 소송에서 발생한 일이었다.[5] 1912년에는 캐나다 태평양 철도를 상대로 소송에서 승소했다. 1913년에는 퀘벡에서의 송환을 피하려는 해리 켄달 소의 변호인 중 한 명이었다.[6]
1923년에는 자신의 법률 사무소를 개업했다.[7] 1926년에는 캐나다 대법원에서 종교적 소수자(비기독교인)의 권리를 주장하는 시험 사건을 맡았다. 그는 몬트리올의 프로테스탄트 학교 위원회에 유대인 대표를 포함시키라는 요구를 지지했고, 별도의 유대인 학교 시스템도 지지했다. 생 로랑의 학교 위원회에 유대인 대표를 포함시키려는 시도는 실패했지만, 퀘벡 주는 비기독교인을 위한 별도의 학교 설립 권리를 인정했다.[2]
생 로랑은 열렬한 자유당원이었지만, 평생 대부분 정치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않고 법률 경력과 가정에 집중했다. 그는 퀘벡의 대표적인 변호사가 되었고, 캐나다 대법원 판사직을 두 번이나 제안받았을 정도로 높은 평가를 받았지만, 모두 거절했다.
4. 정치 경력 (1942–1957)
선거명 직책명 대수 정당 득표수 결과 당락 1942년 선거 하원의원 (퀘벡 이스트 선거구) 19대 캐나다 자유당 16,708표 1위 당선 1945년 선거 하원의원 (퀘벡 이스트 선거구) 20대 캐나다 자유당 17,965표 1위 당선 1949년 선거 하원의원 (퀘벡 이스트 선거구) 21대 캐나다 자유당 25,832표 1위 당선 1953년 선거 하원의원 (퀘벡 이스트 선거구) 22대 캐나다 자유당 25,945표 1위 당선 1957년 선거 하원의원 (퀘벡 이스트 선거구) 23대 캐나다 자유당 27,364표 1위 당선
윌리엄 라이언 매켄지 킹 총리의 요청으로 정계에 입문한 그는, 어니스트 라푸앵트의 사망으로 공석이 된 법무부 장관직을 맡았다. 이후 외무부 장관을 거쳐 1948년에는 캐나다 총리가 되었다. 총리 재임 기간 동안 뉴펀들랜드의 캐나다 합병을 이끌었으며, 사회 복지 프로그램 확대, 이민 장려, 트랜스캐나다 고속도로, 세인트로렌스 해상 수로, 트랜스캐나다 파이프라인 건설 등 대규모 인프라 사업 추진 등 다양한 정책을 펼쳤다. 대외적으로는 국제 연합(UN) 평화유지군 창설과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 창설에 기여하는 등 국제 사회에서 캐나다의 위상을 높였다.
4. 1. 법무부 장관 (1942–1946)
1941년 말, 자유당 총리 윌리엄 라이언 매켄지 킹이 그의 의무감에 호소했을 때, 생 로랑은 정계 입문을 주저했다.[8] 킹의 퀘벡 부총리인 어니스트 라푸앵트가 1941년 11월 사망하면서, 킹은 퀘벡 부총리가 격변하는 징병 문제를 다루는 데 도움이 될 만큼 강하고 존경받을 만한 사람이어야 한다고 믿었다. 킹은 제1차 세계 대전 중 1917년 징병 위기를 목격했던 젊은 정치인이었으며, 같은 분열이 그의 정부를 위협하는 것을 막고 싶어했다. 많은 사람들이 생 로랑을 그 자리에 추천했고, 이러한 추천에 따라 킹은 12월 9일 라푸앵트의 전 직책이었던 법무부 장관으로 생 로랑을 내각에 영입했다.[8] 생 로랑은 의무감에서 오타와로 가는 데 동의했지만, 그의 정계 진출은 일시적이며 전쟁이 끝나면 퀘벡으로 돌아갈 것이라는 이해하에 동의했다. 1942년 2월, 그는 라푸앵트의 전 선거구였던 퀘벡 동부의 보궐선거에서 승리했다. 생 로랑은 1944년 징병을 도입하기로 한 킹의 결정을 지지했다(1944년 징병 위기 참조). 그의 지지는 퀘벡 자유당 국회의원 몇 명 이상이 당을 떠나는 것을 막았고, 따라서 정부와 당의 통합을 유지하는 데 중요했다.[8]
4. 2. 외무부 장관 (1946–1948)
생로랑은 국제 연합(UN)이 군사적 수단 없이는 전쟁과 무력 충돌 상황에서 효과적이지 않을 것이라고 믿었고, UN 군대 창설을 주장했다. 그는 이 군대가 평화를 유지하거나 전투를 막기 위해 필요한 상황에서, 기민함과 힘을 모두 사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1956년, 이 아이디어는 생로랑과 그의 외무장관 레스터 B. 피어슨에 의해 실현되어, UN 평화유지군이 수에즈 위기 종식에 기여했다.[10]
생로랑은 또한 UN이 소련의 공산주의로부터 국제 안보를 제공하는 데 실패하고 있다고 믿었다. 그래서 그는 UN을 보완할 대서양 안보 기구를 제안했다. 이는 1949년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가 설립되면서 현실이 되었다. 생로랑은 그러한 기구를 최초로 제안한 권력자 중 한 명으로 여겨진다.[2]
4. 3. 총리 (1948–1957)
자유당 대표 선거에서 승리한 생 로랑은 1948년 11월 15일 캐나다 총리에 취임하여, 윌프리드 로리에에 이어 두 번째 프랑스계 캐나다 총리가 되었다. 1949년과 1953년 총선에서 자유당을 이끌어 압승을 거두었다. 특히 1949년 총선에서는 캐나다 역사상 최다 의석인 191석을 확보하는 기록을 세웠다.
생 로랑은 선거 운동 기간 동안 '루이 삼촌(Uncle Louis, 퀘벡에서는 Papa Louis)'이라는 친근한 이미지로 대중에게 다가갔다. 아이들과 스스럼없이 어울리고 소탈한 모습을 보여주며, 국민적 지지를 얻었다.[13]
선거명 | 직책명 | 대수 | 정당 | 득표수 | 결과 | 당락 |
---|---|---|---|---|---|---|
1949년 선거 | 하원의원 (퀘벡 이스트 선거구) | 21대 | 캐나다 자유당 | 25,832표 | 1위 | |
1953년 선거 | 하원의원 (퀘벡 이스트 선거구) | 22대 | 캐나다 자유당 | 25,945표 | 1위 |
총리 재임 기간 동안, 뉴펀들랜드의 캐나다 합병을 이끌어냈다. 1947년과 1948년 두 차례에 걸쳐 뉴펀들랜드 대표 조이 스몰우드와 협상을 진행했고, 1949년 3월 31일 뉴펀들랜드를 캐나다에 편입시키는 데 성공했다.[2] 1951년부터 1957년까지 총리 공관인 24 서섹스 드라이브에 거주한 첫 번째 총리였다.
1956년 파이프라인 논쟁을 거치면서 자유당 정부에 대한 국민들의 불만이 커졌다. 정부가 파이프라인 법안 통과를 위해 여러 차례 토론 종결을 강행하면서, 권위적이라는 비판을 받았다.[37] 결국 1957년 총선에서 존 디펜베이커가 이끄는 진보보수당에 패배하여 정권을 내주게 되었다.[38]
4. 3. 1. 국내 정책
생 로랑 정부는 전시 세금 잉여금과 캐나다의 부채 상환금을 활용하여 사회 복지 프로그램을 확대했다. 가족 수당, 노령 연금, 대학교 및 대학 교육에 대한 정부 지원, 그리고 초기 형태의 의료보험 등이 이에 해당한다.[16] 1951년에는 70세 이상 모든 캐나다인에게 노령 연금을 보편적으로 지급하고,[18] 65세 이상 빈곤층에게는 노령 생활 지원을 도입했다.[19] 또한 시각 장애인(1951)과 장애인(1954)을 위한 수당도 신설했다.[16]1954년에는 주택법을 개정하여 비영리 단체와 지방 정부가 학생, 장애인, 노인 및 저소득 가정을 위한 주택을 건설하거나 개조할 때 연방 정부 자금을 지원받을 수 있도록 했다.[16] 1956년에는 실업 수당 혜택이 소진되었거나 자격이 없는 사람들을 위한 실업 지원 제도를 도입했다.[20]
생 로랑 정부는 예술, 인문학, 사회 과학 분야 연구를 지원하기 위해 캐나다 위원회를 설립하고, 가난한 주 정부의 재정을 지원하기 위해 재정균형 지급 정책을 도입했다.[21] 1957년에는 (RRSP)을 도입하여 국민들의 노후 대비를 지원했다.
또한, 전후 노동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고 경제 성장을 촉진하기 위해 이민을 장려했다.[28] 1948년에만 12만 5천 명이 넘는 이민자가 캐나다에 도착했고, 1957년에는 그 수가 28만 2천 명으로 두 배 이상 증가했다. 이들 중 상당수는 이탈리아인, 그리스인, 포르투갈인 등 남유럽 출신이었다.[28] 1956년과 1957년에는 1956년 헝가리 혁명으로 발생한 3만 7,500명이 넘는 헝가리 난민을 수용하기도 했다.[29]

생 로랑 정부는 트랜스캐나다 고속도로(1949년), 세인트로렌스 해상 수로(1954년), 트랜스캐나다 파이프라인 건설 등 대규모 인프라 사업도 추진했다. 특히 세인트로렌스 해상 수로 건설을 위해 미국과 협상해야 했는데, 해리 S. 트루먼 대통령과의 협상은 실패했지만, 드와이트 아이젠하워 대통령과의 협상을 통해 합의를 이끌어냈다.[30] 이 사업에는 4.7억캐나다 달러가 소요되었으며, 캐나다가 이 중 약 4분의 3을 부담했다. 1959년에 완공된 해상 수로는 미국과의 경제 무역로를 확장하는 데 기여했다.[30]
4. 3. 2. 대외 정책
생 로랑과 그의 내각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캐나다가 국제 사회에서 더 큰 역할을 하도록 이끌었다. 그는 캐나다가 사회, 군사, 경제적으로 '중견국' 역할을 해야 한다고 생각했다.[10] 1947년, 그는 캐나다의 외교 정책에 대한 5가지 기본 원칙과 5가지 실제 적용 방안을 제시했다. 그는 국가 통합을 강조하며 "우리의 대외 정책이 우리의 통합을 파괴해서는 안 된다… 분열된 캐나다는 무력할 것이기 때문이다"라고 주장했다. 또한 전체주의에 반대하는 정치적 자유와 법치주의를 강조했다.생 로랑은 국제 연합(UN)이 군사력이 없이는 전쟁과 무력 충돌을 막을 수 없다고 믿었고, UN 군대 창설을 주장했다. 그는 이 군대가 평화를 유지하거나 전투를 막기 위해 필요할 때 신속하고 강력하게 움직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1956년, 이 아이디어는 생 로랑과 그의 외무장관 레스터 B. 피어슨에 의해 실현되어, UN 평화유지군이 수에즈 위기를 해결하는 데 기여했다.[10] 이 공로로 피어슨은 1957년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다.[10]
생 로랑은 또한 UN이 소련의 공산주의로부터 국제 안보를 지키지 못한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그는 UN을 보완할 대서양 안보 기구를 제안했고, 이는 1949년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 창설로 이어졌다. 생 로랑은 이러한 기구를 처음 제안한 사람 중 하나로 여겨진다.[2] 그는 1949년 NATO 조약 문서의 설계자이자 서명자였다.[14]
그의 지휘 아래 캐나다는 한국 전쟁에서 유엔을 지원했으며, 유엔군에 군대, 함선, 항공기를 지원하여 세 번째로 큰 규모의 기여를 했다. 한국에 파병된 군대는 자원병으로 구성되었으며, 2만 6천 명이 넘는 군인이 파병되었다.[10]
1953년, 생 로랑은 고위도 북극 이주를 실시하여 92명의 이누이트를 퀘벡주 이누크주악에서 노스웨스트 준주(현재 누나부트 준주)의 두 지역 사회로 이주시켰다.[33][34] 이는 냉전과 분쟁 중인 북극 영토에 대한 캐나다 북극 군도에 대한 주권을 주장하기 위해 "인간 깃대"를 사용하여 연방 정부가 주도한 강제 이주였다.[35] 이주된 이누이트들은 이주 후 첫 해에 극심한 결핍을 막을 만큼 충분한 지원을 받지 못했다.[36]
5. 퇴임 이후 (1957–1973)
레스터 피어슨에게 자유당 대표직을 넘겨주고 정계에서 은퇴한 생로랑은 법률 업무로 복귀하여 가족들과 함께 조용하고 평범한 삶을 살았다.[40] 1961년 CBC와의 인터뷰에서 그는 법정에서의 일이 정치 연설이나 선거 유세보다 더 솔직하고 진솔할 수 있다고 말하며 법률에 대한 선호를 드러냈다. 또한 파이프라인 논쟁이 1957년 선거 패배의 원인이었음을 인정하며, 자신의 실수를 인정하고 최선을 다했음을 밝혔다.[41]
은퇴 후, 1967년 새롭게 제정된 캐나다 훈장 동반자로 임명되어 다시 한번 대중의 주목을 받았다. 1967년 7월 6일, 그는 캐나다 전 총리로서 조국에 헌신한 공로를 인정받아 캐나다 훈장 동반자로 임명되었다.[42]
1973년 7월 25일, 루이 스티븐 생로랑은 퀘벡주 퀘벡 시티에서 심장 마비로 91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그는 고향인 퀘벡주 컴프턴의 생 토마 다캥 묘지에 안장되었다.[43]
6. 유산 및 평가
생로랑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캐나다의 새로운 시대를 이끌었으며, 많은 사람들은 이 시기를 "캐나다의 황금기"라고 부른다.[44] 그의 정부는 점진적이고 재정적으로 책임감 있으며, 사업적인 효율성을 추구했다.[45] 전직 고위 공무원 로버트 고든 로버트슨은 1949년부터 1956년까지 생로랑 행정부가 캐나다 역사상 가장 일관되고 재정적으로 책임감 있으며 문제 없는 정부를 제공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45]
캐나다 작가이자 교수인 로버트 보스웰은 생로랑이 수상으로서 최고의 특성을 많이 가지고 있었지만, 정치가로서 최고의 자질은 거의 없었다고 평가했다. 그는 1948년부터 1954년까지 그의 가장 생산적인 시절에 뛰어난 정치가인 강력한 장관들로 구성된 내각을 이끌었으며, 그의 근본적인 목표는 국가 통합이었다고 언급했다.[2]
캐나다 역사가들이 실시한 캐나다 초대 수상 20명( 장 크레티앵까지)에 대한 설문 조사에서 생로랑은 4위를 차지했다.
생로랑이 태어난 컴프턴의 집과 부지는 1973년에 캐나다 국립 사적지로 지정되었다.[47] 퀘벡시티 그랑 알레 동쪽 201번지에 있는 생로랑의 주택은 인정된 연방 유산 건물로 보호받고 있다.[48]
CCGS 루이 S. 생로랑은 캐나다 해안 경비대의 중형 북극 쇄빙선으로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루이 생로랑 학교는 알버타주 에드먼턴에 있으며,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49] 퀘벡주 이스트 앵거스의 루이 생로랑 고등학교도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루이-생-로랑 선거구는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2003년에 설립된 이 선거구는 부분적으로 생로랑의 옛 선거구인 퀘벡 동부를 포함한다.
특히, 한국 전쟁 파병은 대한민국과의 특별한 인연으로 이어져, 오늘날까지 양국 관계의 중요한 기반이 되고 있다.
7. 역대 선거 결과
선거명 | 직책명 | 대수 | 정당 | 득표율 | 득표수 | 결과 | 당락 |
---|---|---|---|---|---|---|---|
1942년 선거 | 하원의원 (퀘벡 이스트 선거구) | 19대 | 캐나다 자유당 | 0% | 16,708표 | 1위 | |
1945년 선거 | 하원의원 (퀘벡 이스트 선거구) | 20대 | 캐나다 자유당 | 0% | 17,965표 | 1위 | |
1949년 선거 | 하원의원 (퀘벡 이스트 선거구) | 21대 | 캐나다 자유당 | 0% | 25,832표 | 1위 | |
1953년 선거 | 하원의원 (퀘벡 이스트 선거구) | 22대 | 캐나다 자유당 | 0% | 25,945표 | 1위 | |
1957년 선거 | 하원의원 (퀘벡 이스트 선거구) | 23대 | 캐나다 자유당 | 0% | 27,364표 | 1위 |
참조
[1]
서적
The Forked Road: Canada 1939–1957
1976
[2]
웹사이트
Louis St. Laurent biography
http://www.biographi[...]
2021-11-05
[3]
웹사이트
Bishop Antoine Racine (1822–1893), First Catholic Bishop of Sherbrooke
http://townshipsheri[...]
2015-12-02
[4]
웹사이트
Canadian Bar Association: Past CBA Presidents
https://www.cba.org/[...]
[5]
웹사이트
How Louis St-Laurent's visionary leadership was shaped by his Townships roots
https://montrealgaze[...]
2021-12-09
[6]
뉴스
Dupus blocks release of Thaw
https://www.newspape[...]
2019-05-29
[7]
웹사이트
The jurist - Louis S. St-Laurent National Historic Site
https://www.pc.gc.ca[...]
2021-12-07
[8]
웹사이트
Prime Ministers
https://ottawa.ca/en[...]
City of Ottawa
2017-11-28
[9]
웹사이트
Louis S. St-Laurent National Historic Site
https://www.pc.gc.ca[...]
2021-12-07
[10]
웹사이트
The United Nations Organization
https://www.pc.gc.ca[...]
2022-01-18
[11]
문서
CPMFMTT
2007
[12]
웹사이트
Trudeau makes subtle reference to landmark foreign policy speech given at U of T
https://www.utoronto[...]
2021-12-09
[13]
웹사이트
Uncle Louis (Papa Louis in Quebec)
https://parli.ca/unc[...]
2022-01-16
[14]
서적
In Defence of Canada: Volume 4: Growing Up Allied
1980
[15]
웹사이트
Louis St-Laurent goes around the world in 42 days
https://www.cbc.ca/a[...]
2022-01-16
[16]
서적
The emergence of social security in Canada
[17]
서적
Ideas and the Pace of Change: National Pharmaceutical Insurance in Canada, Australia, and the United Kingdom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Toronto Press
2015-01
[18]
서적
Gray agendas: interest groups and public pensions in Canada, Britain, and the United States
[19]
서적
Facts of life: the social construction of vital statistics, Ontario, 1869–1952
[20]
서적
In pursuit of the public good: essays in honour of Allan J. MacEachen
[21]
간행물
Liberal action for a greater Canada: speaker's handbook, federal general election, 1957
https://babel.hathit[...]
[22]
간행물
Liberal action for a greater Canada: speaker's handbook, federal general election, 1957
https://babel.hathit[...]
[23]
간행물
Liberal action for a greater Canada: speaker's handbook, federal general election, 1957
https://babel.hathit[...]
[24]
간행물
Liberal action for a greater Canada: speaker's handbook, federal general election, 1957
https://babel.hathit[...]
[25]
간행물
Liberal action for a greater Canada: speaker's handbook, federal general election, 1957
https://babel.hathit[...]
[26]
간행물
Liberal action for a greater Canada: speaker's handbook, federal general election, 1957
https://babel.hathit[...]
[27]
간행물
Liberal action for a greater Canada: speaker's handbook, federal general election, 1957
https://babel.hathit[...]
[28]
웹사이트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1-10-15
[29]
웹사이트
Refugees of the 1956 Hungarian Revolution National Historic Event
https://www.pc.gc.ca[...]
2021-11-20
[30]
웹사이트
St-Laurent negotiates bridging the St. Lawrence
https://www.cbc.ca/a[...]
2021-10-12
[31]
웹사이트
Louis St. Laurent
https://thecanadagui[...]
2022-01-18
[32]
서적
Canada Since 1945: Power, Politics and Provincialism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Toronto Press
1989
[33]
보고서
The High Arctic Relocation: A Report on the 1953–55 Relocation
http://publications.[...]
Royal Commission on Aboriginal Peoples
1994
[34]
서적
Domicide: The Global Destruction of Home
https://books.google[...]
McGill-Queen's University Press
2001
[35]
뉴스
Disappearing Arctic
2011-05-14
[36]
서적
The Long Exile: A Tale of Inuit Betrayal and Survival in the High Arctic
https://books.google[...]
Knopf Doubleday Publishing Group
[37]
서적
Essence of Indecision: Diefenbaker's Nuclear Policy, 1957–1963
https://books.google[...]
MQUP
[38]
웹사이트
How arrogance cost the Liberals the 1957 election
https://www.tvo.org/[...]
2019-10-07
[39]
서적
Essence of Indecision: Diefenbaker's Nuclear Policy, 1957–1963
https://books.google[...]
McGill-Queen's Press - MQUP
[40]
웹사이트
Louis St-Laurent: the reluctant politician
https://www.cbc.ca/a[...]
2021-10-14
[41]
웹사이트
St-Laurent returns home
https://www.cbc.ca/a[...]
2021-11-02
[42]
웹사이트
Order of Canada
http://archive.gg.ca[...]
2015-04-08
[43]
웹사이트
Historic Sites and Monuments Board of Canada – Former Prime Ministers and Their Grave Sites – The Right Honourable Louis Stephen St. Laurent
http://www.pc.gc.ca/[...]
Government of Canada
2010-12-20
[44]
웹사이트
Louis St-Laurent and Canada's Golden Age
https://www.cbc.ca/a[...]
2021-10-14
[45]
서적
Memoirs of a Very Civil Servant: Mackenzie King to Pierre Trudeau
https://archive.org/[...]
U of Toronto Press
[46]
서적
Prime Ministers: Ranking Canada's Leaders
1999-01-01
[47]
CRHP
Louis S. St. Laurent National Historic Site of Canada
2012-04-07
[48]
CRHP
Louis S. St-Laurent House
2012-04-07
[49]
웹사이트
Edmonton Catholic Schools
https://www.ecsd.net[...]
2019-10-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